이차공 심방중격 결손의 수술 및 중제술을 통한 치료 성적의 비교

이차공 심방중격 결손의 수술 및 중제술을 통한 치료 성적의 비교

The comparison of outcome in ASD secundum patients between surgical and device closure

(구연):
Release Date : 2009. 10. 24(토)
Nam Kyun Kim¹, Jung Ok Kim¹, Su-Jin Park¹, Han Ki Park², Young Whan Park², Byung Won Yoo¹, Jun Hee Sul¹, Jae Young Choi¹
¹Division of Pediatric Cardiology, Severance Cardiovascular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²Department of Cardiovascualr Surgery, Severance Cardiovascular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김남균¹, 김정옥¹, 박수진¹, 박한기², 박영환², 유병원¹, 설준희¹, 최재영¹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소아심장과¹,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심장혈관외과²

Abstract

목적: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은 흔한 선천심장병으로 그 치료법의 많은 변화가 있어 왔다. 수술적인 방법으로도 미세 절개를 통한 수술법 및 로봇수술을 이용한 방법 등의 발전이 있었으며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경피적 심도자술을 통한 기구폐쇄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에서 수술적 치료와 경피적 심도자술을 통한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정보와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각각 치료 방법의 유용성과 안전성을 비교해 보고자 했다. 방법:200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5년간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에서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을 진단받고 치료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각의 치료 방법에 따라 기구폐쇄군과 수술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간의 환자들의 임상정보, 심초음파 결과, 심도자 결과, 수술기록 및 합병증 여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환자 중 관상동맥 질환 등의 중등도 이상의 독립된 심장질환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전체 566명의 환자들이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을 진단받고 치료 받았다. 이중 410명이 경피적 심도자술을 통한 기구폐쇄술을 통해 치료 받았고 나머지 156명이 수술을 통해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을 치료 받았다. 수술을 받은 156명의 환자들 중 60명의 환자들이 수술 전에 심도자 술을 시행 받았으며 이들 중 12명의 환자들이 경피적 심도자술을 통한 기구폐쇄를 시도 하였으나 기구를 결손 부위에 위치한 이후 기구와 승모판이 닿거나 (n=8), 40mm 이상의 큰 결손을 보이거나 (n=3), 다발성 심방중격결손을 보이면서 각각의 결손간의 거리가 멀어(n=1) 결국 수술을 시행받았다. 중심연령은 각각 기구폐쇄를 시행한 군이 25.5세 수술을 시행한 군이 27세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시술 성공율은 기구폐쇄를 시행한 군이 97%, 수술군이 100%였으며 결손의 크기는 각각 기구폐쇄군이 22.4±7.5mm, 수술군이 30.6±12mm로 였다( P=0.008). 입원기간은 수술이나 시술을 받은 날로부터 퇴원하는 날까지로 하여 기구폐쇄군이 3±0.3일, 수술군이 12.3±35.8일 이었다( P=0.001). 합병증은 기구폐쇄군이 3.5%, 수술군이 25%였다( P>0.001). 결론: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의 경피적 심도자술을 통한 기구폐쇄를 이용한 치료 방법은 수술적 치료 방법에 비해 전체 연구 대상 연령에서 동등한 치료 성적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합병증에 있어서는 심도자술을 통한 기구폐쇄술이 수술적 치료에 비해 적은 빈도를 보였으며 입원기간 또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군에 비해 심도자술을 통한 기구폐쇄술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더 짧은 소견을 보였다. 환자군의 선택에 있어서 수술에 비해서 제한이 있지만 적절한 환자의 선택을 한 경우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의 심도자술을 통한 경피적 폐쇄술은 수술을 대신할 수 있는 치료법이 될 것이다.

Keywords: Atrial septal defect, Transcatheter closure, Theatment effect